S3를 간단하게 배워보자 3/3
1. 버킷을 생성하고 파일을 올린다. 퍼블릭 객체 읽기 권한을 설정한다.
2. 퍼블릭 링크를 복사한 후 AWS 계정이 로그인 되지 않은 환경에서 링크를 열어본다.
3. 버킷에서 버전 관리와 수명 주기 관리를 활성화 한다.
4. 미리 서명된 URL 생성과 사용
5. 버킷에서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활성화
6. 데이터의 수명 주기 비용 계산
이번에도 쉬운 과제.
html기초과목을 수강하면서 2강을 듣고 만들어본 index.html이 이미 인스턴스에 있다 그것을 s3에 업로드하고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을 시도해보겠다.
index2를 s3로 옮기고 확인해준다.
외부 엑세스를 허용해줘야하기 때문에 체크박스를 해제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버킷의 속성 탭으로가서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을 편집해준다.
index를 그대로 옮겼으니 내부 파일과 연결된 커멘드는 다 깨져서 출력이 되었다. 또한 한글도 깨진다.
그래도 잘 되는 것은 확인했다. 실제로 이렇게 쓰려면 버킷의 이름은 "www.testnet.com"이나 "www.welcom.net"등으로 이용하면 더 웹 사이트 같은 느낌이 날 것 같다.
원래 웹으로 들어가면 이렇다..ㅎ
데이터 수명주기의 비용을 계산해보자.
calculator.s3.amazonaws.com/index.html
Amazon Web Services Simple Monthly Calculator
This Calculator provides an estimate of usage charges for AWS services based on certain information you provide. Monthly charges will be based on your actual usage of AWS services, and may vary from the estimates the Calculator has provided. Give us your f
calculator.s3.amazonaws.com
여기서 한다.
내가 한달에 ec2와 s3의 사용량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해준다. 프리티어 할인까지 반영되어 있으며 한글도 지원한다.
* 지금까지 S3 공부는 AWS 공인 솔루션스 아키텍트 스터디 가이드 - 어소시에이트 2/e를 참고하였다.
* 안전한 EC2와 S3 사용을 위해 실습으로 사용한 인스턴스와 버킷은 모두 삭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