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Solutions Architect Professional, SAP-C02 후기

elikim 2023. 4. 3. 09:52

 

안녕하세요 여러분

 

아직 AWS에 대해 먼길까지 오지 않았지만, 처음 말씀드렸던 클라우드 학습에 대한 이야기도 하겠다고 해놓고 너무 이론만 들어간 것은 아닌가 생각되어 오늘은 자격증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사실 오늘 이 이야기를 꺼내게된 이유는, 제가 AWS 자격증을 하나 더 취득한 기념으로..ㅎㅎ

아직 SAP-C02는 후기도 인터넷에 많지 않아 우리 네전따에 남길겸, AWS 자격증 시험을 처음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도 드려볼겸, 시험 후기와 시험 문제 풀이에 대한 소소한 팁에 대해 말씀을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험 후기

 

- 응시 사유

작년 중순까지는 AWS의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였는데, 이후 쿠버네티스와 관련 오픈소스를 더 많이 활용하게 되면서 AWS를 사용하는 빈도가 조금 줄었습니다. 예전에는 다양한 서비스를 디테일하게 관리했다면 현재는 인프라적인 요소들과 DevOps관련 툴만 사용하고 있어서 여전히 제 지식이 유효한지를 검증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자격증 50퍼센트 할인 바우처의 유효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었습니다..

 

- 시험 준비

화요일에 신청해서 금요일에 시험을 치루게 되었습니다. 준비기간은 매우 짧지만 그동안 업무를 하면서 쌓아놓은 지식이 유효하다면 충분히 합격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거만한 이야기로 들리실 수도 있겠지만, 매일매일 AWS를 사용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놓고 보신다면 충분히 이해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우리 모두 각자의 전문분야가 있으니까요.

 

최신 덤프를 참고했습니다. 문제를 보고 이해가 안되는 것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사용해보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들도 업데이트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모르는 키워드를 검색해서 AWS Docs를 직접 읽어본 것이 매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영어 시험을 선택했고, ESL 혜택(비영어권 국가 응시자에게 시험시간을 30분 추가로 줍니다)을 받아 총 210분의 시간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180분 정도 소진하였습니다.

 

- 시험 내용

시험은 대체로 아키텍처링, 권한관리, 비용관리 등의 문제가 주를 이룹니다. 따라서 가장 많이 등장한 서비스로는 Lambda, API, S3, CloudFront, CloudWatch, CloudFormation, Aurora, DynamoDB, TransitGW, DX, IAM 정도이며 1-2문제 정도로 나왔던 서비스로는 AWS Organizations, System Manager, Control Tower, Secret Manager, SQS, SNS 등이 현재 기억납니다.. 주로 하나의 서비스에 대해 묻는 것이 아닌 여러 서비스의 조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문제로 나옵니다.

 

* AWS 시험 팁

Professional 시험과 Associate 시험의 가장 큰 특징은, Professional 시험은 보기의 내용이 대체로 다 구성은 가능한 조합입니다. 그 중에서 비용이 가장 낮은 조합, 고가용성 조합, 관리요소가 가장 낮은 조합 등 문제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조합을 찾아내야 하는 반면, Associate 시험은 정답인 보기를 제외하고 다른 답들은 구성이 불가능하거나 요구사항과 너무 거리가 먼 조합으로 되어 있습니다. 즉, Professional은 실제 그 구성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 난이도(주관적)

같은 Professional 자격증인 DevOps Professional(DOP)보다는 쉬웠습니다. 그때의 지식수준과 지금의 지식수준의 차이도 있겠지만, DOP는 DevOps 툴들의 차이에 대해 명확히 이해해야하고 CI/CD 파이프라인에 대한것과 더불어 아키텍쳐적인 요소도 잘 알고있어야했는데 SAP에서는 아키텍쳐와 각종 서비스의 역할에 대해서만 잘 이해하고 있으면 답을 고르는 것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 시험 후..

예전에는 분명히 시험이 끝나면 Pass or Fail을 바로 알려줬는데, 현재는 곧바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걸 몰라서 시험을 종료하고 설문조사를 마쳤는데 Pass가 안떠서 떨어진줄 알았습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세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시험을 치루었고 결과는 오후 7시쯤 aws certification 홈페에지에 로그인하여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영업일 기준 5일은 최대 시간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합격 메일도 2일이 지난 일요일에 받았습니다.

 

2. 시험 문제 접근법

아마 다들 아시겠지만, AWS의 자격증 시험은 시험 문제만 잘 읽어도 답을 고르는 것이 매우 쉬워집니다. AWS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만 있더라도 문제만 잘 이해하면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예시를 통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문제는 덤프 사이트에 있는 문제를 번역하여 가져온 것입니다(실제 시험에서는 이것보다 더 양질의 번역이 된 질문지가 나오리라 믿습니다..).

 

아키텍처를 고려할 때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 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고가용성, 비용, 관리 편의성, Latency, 보안, 프라이빗 환경 등입니다. 이러한 단어들이 아키텍처에 반영될 때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해 이해하면 문제가 쉬워집니다.

 

위 문제에서는 아래와 같이 핵심 키워드와 그 의미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1)특정 달에 피크가 있다면 on-demand로 사용한 만큼만 돈을 지불하기 위해 관리형 서비스를 쓰거나 auto scaling이되는 환경 또는 스케줄링이 되어야하고, (2)정적 콘텐츠는 가장 저렴하며 구축이 쉬운 s3를 통해 배포할 수 있으며, (3)운영 오버헤드를 줄인다는 것은 관리형 서비스를 쓰거나 서버리스를 사용해서 서버 관리를 안하도록 설계할 수 있고, (4)타사 소프트웨어의 종속성을 제거하고 aws 서비스만을 사용하여 아키텍쳐를 구성하는 답을 찾으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s3는 오브젝트 스토리지로 각 파일별로 주소가 부여되기 때문에 파일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없고, s3 이벤트 알람을 사용하면 별도로 알람 로직을 생성할 필요가 없으며, AWS의 Rekognition을 사용하면 기존의 서드 파티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타사 종속성을 제거할 수도 있어 답이 C가 됩니다. Lambda로 SQS 대기열을 처리하면 별도의 인스턴스를 관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관리 편의성도 생깁니다.

 

이런 식으로 핵심 키워드를 찾아 기억해가면서 문제를 풀면 조금 더 빠르게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궁금하시겠죠. 저런 특성들을 어떻게 추론해내는지가요. 이 부분은 AWS를 직접 사용하면서 하나 둘 씩 익혀가는 것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단순히 암기로 문제를 풀게 되시면 정답과 멀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관리 편의성을 위해 서버리스를 사용한다라고만 생각하여 Lambda가 있는 선택지를 고르신다면, 코드를 수행시간을 고려하지 못하여 오답을 고르게되실 수도 있습니다(Lambda는 15분 이상 동작하지 않으므로 15분 이상 동작해야하는 코드를 수행시킬 수 없습니다).

 

결국 자격증은 시험을 잘 봐야하기 때문에, 덤프 보시면서 모르는 문제나 풀다가 틀리는 것이 나왔을 때 모르는 것은 docs를 찾아보거나 왜 틀렸는지를 확인해가면서 공부하면 실력도 같이 빠르게 올라갈 것 같습니다.

 

시험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너무나 기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